본문 바로가기
정보과학/영상통신시스템

영상 통신을 위한 인터넷 기술 (1)

by J1소프트 2023. 10. 18.
728x90

1. 영상통신과 인터넷

 

1.1 영상통신을 위한 요구사항

디지털화된 영상 정보의 패킷 사이에 전달 지연변이를 일정 범위 이내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 전달된 영상데이터 패킷들이 자연스러운 영상으로 복원되려면, 영상을 부호화할 때의 표본화 주기와 동일한 주기로 재구성될 수 있도록 패킷들의 도달 간격이 표본 주기보다 크지 않아야 한다.

 

영상 정보의 전송에서는 혼잡이 발생하거나 패킷의 분실 없이 전달되는 패킷의 경로설정이 중요하다. 도달되는 패킷의 순서가 바뀌거나 오류 발생으로 패킷이 분실되면 실시간 영상의 복원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송신자와 수신자가 먼저 전송로의 연결(Connection)을 설정하고, 그 연결을 고정적으로 사용하는 회선 교환망에서는 비교적 쉽게 만족한다. 그러나 패킷 헤더의 주소를 통해 중간 라우터에서 매 패킷마다 독립적으로 패킷의 전달 방향을 결정하는 패킷교환망의 경우에서의 영상통신은 다른 새로운 기술적 문제를 제기한다.

 

1.2 인터넷과 영상통신

인터넷은 물리적인 네트워크들을 상호 접속하는 방법이다.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들이 서로 통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프로토콜들의 집합이다.

 

인터넷에서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라고 불리는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부분적인 데이터 통로(Link)들을 연결시키고 있다.

      ▷ TCP/IP는 연결지향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다.

      ▷ TCP/IP는 네트워크에 관련된 하드웨어 부분과는 독립적이어서, 특정한 하드웨어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인터넷 응용을 개발할 수 있다.

      모든 컴퓨터들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주소 체계가 편리하게 되어 있다.

             현재 :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 4)32비트 IP주소를 사용한다.

             급격히 증가하는 네트워크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어려워, 새로 설계된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에서는 128비트의 새로운 IP 주소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저속의 기존 인터넷 환경에서 고속의 영상통신을 위한 환경으로의 개선

      인터넷 기간망(Backbone Network)의 용량이 증대되었다.

      라우터 및 네트워크 설계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터넷에서도 고속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게 되었다.

      멀티미디어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인터넷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달해보자는 시도가 제기되었다.

 

영상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영상회의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통신 서비스가 멀티캐스트 프로토콜 환경 하에서 시험되고 있다.

             MBone(Multicast backBone)은 영상통신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시험 운용하는 인터넷상의 가상망이다.

      멀티미디어 수송 프로토콜 기술의 표준화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CP(RTP Control Protocol)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

 

1.3 영상통신을 위한 인터넷 보완 기술

인터넷 상에서 영상통신 서비스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사항들이 많이 있다.

      서비스품질 보장 기술

             실시간적 요구사항을 전달망의 관점에서 서비스품질을 어떻게 확보해 줄 것인가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한 것

             영상통신에 사용되는 매체가 영상과 음성이라는 실시간 특성을 가지는 트래픽인데 반해현재 이를 전달할 하부 네트워크가 이러한 실시간적 요구사항을 보장해 주지 못하기 때

      IPv6

             인터넷 사용자의 폭발적인 증가로 주소 공간의 확장 필요

               → 인터넷 상에서의 보안(Security)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

      멀티미디어 멀티캐스트

             다지점간의 영상회의에 사용

              - 수 백, 수 천명의 참가자가 동시에 하나의 회의 세션에 참가

             진행 중인 연구

              - 그룹 주소 관리, 회원 관리, 멀티캐스트를 위한 경로설정 기법

 

영상통신을 위한 인터넷 보완 기술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타임스탬프와 순서번호 구간이 있어서 실시간성 패킷을 다루는데 편리하다.

      RTCP(RTP Control Protocol)

             종단 간에 궤환 정보를 제공하므로 송신자와 수신자가 네트워크의 현재 상태를 추정하, 이를 전송률 제어에 활용할 수 있으므로 대단히 유용하다.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

             회의에 관한 일반적인 사항을 서술할 때 사용

      SAP(Session Announcement Protocol)

             서술된 회의 내용을 사용자들에게 알림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영상회의 세션을 개설하고자 할 때

      SCCP(Simple Conference Control Protocol)

             회의 참가자들을 관리하거나 회의 진행에 필요한 발언권 등을 제어


2. 인터넷 프로토콜

 

2.1 TCP/IP의 구조

(1) OSI 7 Layer 구조

Physical Layer

       전기, 물리 조건

       가장 기본이 되는 계층으로 물리적인 연결 기능을 담당

       시스템 간에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물리적인 링크를 구성하고 유지하기 위한 전, 기계, 절차 등 기능적 측면을 담당

 

Data Link Layer

       인접 장치 간 데이터 전송

       인접한 시스템 간에 형성된 물리적인 링크를 통해 신뢰성 있는 데이터의 전달을 보장

       물리적인 어드레싱, 네트워크 토폴로지, 회선 사용 규칙, 에러 검출, 프레임 전달, 흐름 제어 등

 

Network Layer

       통신망간 데이터의 중계

       두 종단 시스템 간에 네트워크 경로 선택 및 연결성 제공

       주로 라우터가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라우팅 프로토콜을 통하여 목적지까지의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여, 선택된 경로로 데이터를 전송

 

Transport Layer

       신뢰성 있는 데이터의 전송 보장

       데이터 전송시 발생하는 오류의 검출 및 복구

       가상 회로(Virtual Channel)의 구축, 경로 유지 및 종료

       흐름 제어(Flow Control) 기능을 제공

 

Session Layer

       Conversation Control

       응용 프로그램 간에 세션을 구성하고 관리하며 종료시키는 역할 수행

                (, 프리젠테이션 층 사이의 대화 링크를 동기 시키며 데이터 교환을 관리)

 

Presentation Layer

       정보 표현 형식

       응용 계층이 통신을 수행하는 다양한 정보의 표현 형식을 공통의 전송 형식으로 바꾸거나 암호화 또는 데이터를 압축하는 기능 제공

       정보의 표현 형식은 응용계층에서 사용되는 추상 구문(Abstract Syntax)과 데이터 전송에 실제로 사용되는 전송 구문(Transfer Syntax)이 정의되어 있음

 

Application Layer

       통신 기능

       OSI 환경 외에 있는 로컬 시스템의 응용 프로세스들과의 인터페이스와 자체 응용 계층의 서비스 가능을 제공

       ) 엑셀, 워드 등

 

(2) OSITCP/IP의 계층 구조 비교

Physical Layer

        물리적으로 연결된 하드웨어적인 접면의 세부사항을 다룬다

        각 시스템에 따른 장치 드라이버와 네트워크 카드를 나타내고 어떤 유형의 전송매체가 사용되었는지 등

 

Data Link Layer

        인접 장치간 데이터 전송

        인접 장치간 데이터의(Bit-Level) 실질적인 전송 담당

        다양한 형태의 기능들이 존재함

        Ethernet, PPP, ATM, Frame Relay, WDM

 

Network Layer(Routing of Datagrams from source to destination)

        데이터를 목적지에 도달하도록 포워딩(Forwarding)과 라우팅(Routing) 수행

        라우팅 : 데이터가 목적지에 도달하도록 경로(Path)를 결정

        포워딩 : 라우팅의 결과에 따라 데이터를 해당 경로로 보냄

 

Transport Layer(Host-Host Data Transfer)

        신뢰성 있는 데이터의 전송 보장

        여러 응용 프로그램들을 구별

        응용 프로그램이 요구하는 수준의 신뢰성(Reliability) 제공

        대표적인 프로토콜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Application Layer

        통신 기능

        E-mail, FTP, SMTP, HTTP 등과 같은 OS와 결부된 응용들

        사용자들 간의 자세한 네트워크 구조와 전송 과정을 알 필요가 없음

 

(3) TCP/IP 구성 요소와 주요 프로토콜

Link Layer : IP 계층에서 사용되는 주소와 네트워크 접면에서 사용되는 주소는 그 체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ARP, RAR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주소 변환을 하고 있다.

      ▷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하여 준다.

      ▷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MAC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하여 준다.

 

Network Layer

      ▷ IP(Internet Protocol) : TCPUDP에서 모두 사용되며, TCPUDP의 모든 데이터는 종단 시스템과 중간의 모든 라우터에서 IP 계층을 지나 전송된다.

      ▷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IP에 부속되는 프로토콜로서 다른 호스트나 라우터에서 IP 계층의 오류 메시지와 같은 정보를 교환하는데 사용된다.

      ▷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 UDP 데이터그램을 여러 호스트에게 멀티 캐스트하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Transport Layer : 송신 호스트와 목적지 호스트 사이에서 수송되는 데이터 패킷 하나하나에 대해 종단 간 데이터 흐름(Flow)을 제공하는데, TCP/IP 프로토콜 구조에는 TCPUDP라는 수송 프로토콜이 있다.

 

Application Layer : 응용 계층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가 어떻게 전달되는지에 상관없이 응용의 세부 사항에만 관여하나, 하위 세 계층은 상위 계층에 관해서는 아무것도 알지 못하고 단순히 데이터의 전달만을 다룬다.

 

2.2 인터넷 프로토콜(IP)

 

IPTCP/IP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로서 인터넷 주소를 이용하여 패킷을 목적지까지 보내는 프로토콜이다.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호스트와 라우터는 IP를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IP의 주된 기능은 연결될 호스트의 주소 지정과 패킷을 생성하는 것이다.

 

IP는 패킷을 다음 노드(라우터)까지만 전달하고 전달된 패킷이 정확하고 안전하게 목적지까지 도착하였는지에 대해서는 보장을 하지 못하는 최선형(Best-effort) 서비스만을 제공한다.

      ▷ IP에서는 데이터를 전달할 때, 연결설정 절차 없이 각 데이터그램이 독립적으로 목적지까지 전송된다.

      → IP 데이터그램들이 순차적으로 전송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 송신자가 A,B 두 데이터그램을 같은 목적지에 전송하였을 경우, 각 데이터그램은 다른 라우터를 통하여 독립적으로 전송되어 A보다 B가 먼저 도착할 수도 있다.

 

IP는 비 연결형 프로토콜로서, 필요한 경우 패킷을 분할(Fragmentation)한다.

      ▷ 비 신뢰적인 IP의 특성 때문에 패킷을 전달할 때는 패킷 헤더에 제한된 생존시한(TTL:Time To Live)을 설정하여 네트워크에 패킷이 계속 돌아다니는 것을 방지한다.

 

IPIP 데이터그램을 통해서 전달되는 거의 모든 정보를 캡슐화(Capsulation)한다.

      ▷ IP헤더의 크기는 최소 20옥텟이며, 특별한 IP 헤더 선택사항(Option)이 추가될 수도 있다.

      ※ 네트워크에서는 바이트라는 용어보다 옥텟이라는 용어를 더 많이 사용한다.

 

IP의 가장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가 경로설정(Routing)이다.

      ▷ 경로설정이란 어떤 호스트에서 생성된 데이터그램을 목적지로 전달하기 위한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을 말한다.

 

IP는 패킷 전달과 관련된 다음 기능들을 보유하고 있다.

      ▷ 호스트들과 라우터들이 패킷들을 처리하는 방법

      ▷ 오류 메시지를 발생시키는 방법

      ▷ 패킷들을 제거하기 위한 조건

 

다음 그림은 IP(IPv4) 프로토콜의 헤더를 나타낸 것이다.

개정판 : 데이터그램을 만들 때 쓰여진 인터넷 프로토콜의 개정판(Version)의 종류를 나타낸다.

      ▷ 현재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는 것은 제4판이다.(IPv6 의 경우는 제6판이다.)

 

헤더길이 : 32비트를 기본 단위로 하며, IP 헤더의 길이를 나타낸다.

 

서비스 유형(TOS:Type of Service)

      ▷ IP 패킷의 우선권을 정의하는데, 전달할 데이터의 전달 우선순위와 관련된 제어 상태를 지정할 수 있다.

      ▷ 이 구간은 신뢰성, 우선순위, 지연, 처리율 등을 규정하는데 상위 계층의 응용에 따라 다르게 지정한다.

 

패킷 길이 : IP 헤더를 포함한 IP 패킷의 전체 길이를 옥텟 단위로 나타낸다.

      ▷ 크기가 16비트이므로 IP 데이터그램의 이론적 최대 데이터의 크기를 MTU(Maximum Transmission Unit)라고 하며, 이 값은 네트워크 특성에 따라 지정되어 있다.

(MTU : 최대 IP 패킷 전송 단위이며, 이더넷은 1,500옥텟, 토큰링은 1,492옥텟, FDDI4,352 옥텟이다.)

      ▷ 만일, 응용이 하부 네트워크의 MTU보다 큰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에는, 이 데이터는 여러 조각으로 분할되며, 각 조각에는 식별자(Identification)를 두어 서로를 구분하고, 수신측에서 패킷들이 재조립될 때 동일한 메시지의 일부임을 알게 한다.

 

식별자 : 데이터그램이 여러 조각으로 분할될 때 각 조각 패킷들을 구분할 때 사용한다.

 

플래그 : 데이터그램이 여러 조각으로 분할되었는지를 나타낸다.

 

분할위치 : 데이터그램이 여러 조각으로 분할되었을 경우, 분할된 위치를 나타낸다.

 

생존시한(TTL : Time To Live) : 패킷이 네트워크 상에서 무한히 떠도는 상태를 방지하기 위하, 패킷이 각 라우터를 지날 때마다 ‘1’씩 감소되는 값으로, 이 값이 ‘0’이 되면 패킷은 폐기 된다.

 

프로토콜 : 상위 계층 프로토콜의 종류를 나타낸다.

      ▷ 값이 ‘6’이면 TCP, 값이 ‘17’이면 UDP, 값이 ‘2’이면 ICMP, 값이 ‘1’이면 IGMP이다.

 

헤더 검사 합 : 헤더 부분의 오류 발생을 검출한다(오류 검사는 상위 수송 프로토콜에서 담당)

 

선택사항 및 채워 넣기 : 네트워크 응용을 시험하고 고치기(Debugging) 위해 사용되는 구간이.

 

발신지 IP주소 및 목적지 IP 주소 : 32비트의 송신지 IP 주소와 목적지 IP 주소를 기록한다.

 

IP주소의 형식은 다음 그림과 같이 다섯 가지의 등급으로 구분된다.

IP주소는 네트워크 식별자(Network Identifier)와 호스트 식별자(Host Identifier)의 쌍으로 구성

 

IP주소의 등급은 IP주소의 첫 부분의 비트 구성에 의해 구분

 

등급 A의 네트워크 식별자는 7비트이고, 호스트 식별자는 24비트이다.

      ▷ 등급 A 주소 체계에서는 27개의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고, 하나의 네트워크당 224개의 호스트를 접속할 수 있다.

      ▷ 등급 A 주소 범위 : 1.0.0.0 ~ 127.255.255.255

 

등급 B의 네트워크 식별자는 14비트이고, 호스트 식별자는 16비트이다.

      ▷ 등급 B 주소 체계에서는 2 개의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고, 하나의 네트워크당 2 개의 호스트를 접속할 수 있다.

      ▷ 등급 B 주소 범위 : 128.0.0.0 ~ 191.255.255.255

 

등급 C의 네트워크 식별자는 21비트이고, 호스트 식별자는 8비트이다.

      ▷ 등급 C 주소 체계에서는 221개의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고, 하나의 네트워크당 28개의 호스트를 접속할 수 있다.

      ▷ 등급 C 주소 범위 : 192.0.0.0 ~ 223.255.255.255

 

등급 D는 특정 네트워크의 호스트에 할당되는 주소는 아니고, 인터넷 멀티캐스트를 위한 주소 공간으로 사용된다.

 

2.3 IPv6

 

IPv6는 새로운 인터넷 프로토콜(IP)로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도입

 

IPv4보다 훨씬 넓은 주소 공간을 제공

      32비트 주소 체계에서 12비트 추소 체계로 확장

 

인증 기능, 암호 기능 등이 강화됨

 

IPv4와 같이 비 연결형 구조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오류제어나 흐름제어 기능을 수행하지 않음

 

IPv4와 다른 특징

      주소 공간 확대

      멀티캐스트되는 범위를 특정한 범위 내로 제한 가능

      패킷 헤더에 있는 흐름표식(Flow label) 구간은 동일한 데이터 열(흐름)에 속하는 모든 패킷을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흐름(Flow)이란 호스트가 유니캐스트 주소나 멀티캐스트 주소로 보내는 패킷 열(Packet Sequence)을 의미한다.

      경로 상에 존재하는 모든 IPv6 라우터는 흐름을 통해 패킷을 식별할 수 있으며, 흐름 기반으로 그들을 처리한다.

      흐름표식은 IP 계층에서 자원예약과 서비스품질을 제공하기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 한다.

      인증과 투명성, 데이터 암호화 등을 위한 새로운 기법을 제공한다.

 

2.4 IP 멀티캐스트(Multicast)

 

인터넷의 데이터 전달 방식은 전달에 참여하는 송신자와 수신자 관점으로 나누어 유니캐스트(Unicast),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멀티캐스트(Multicast)로 구분할 수 있다.

      유니캐스트

      하나의 송신자가 다른 하나의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

      Telnet, FTP

      브로드캐스트

      하나의 송신자와 동일한 하부 네트워크 상의 모든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

      ARP, RARP

      멀티캐스트

      1:N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방식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달하는데 가장 많이 쓰이는 방식

      인터넷 영상회의, 원격교육 등

 

멀티캐스트 전송

      동작 순서

             데이터를 받을 수신자를 호스트 그룹으로 정의한다.

             그룹에 멀티캐스트 주소를 할당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데이터를 받은 라우터는 호스트 그룹의 멤버가 있는 쪽으로만 데이터를 복사하여 목적지 호스트까지 전달한다.

      유니캐스트와 다른 점

      유니캐스트 전송 패킷 헤더 : 수신자 주소를 전송 패킷의 헤더에 표시해 패킷을 전송

      멀티캐스트 전송 패킷 헤더

              - 전송을 위한 그룹 주소는 D등급 인터넷 주소(224.0.0.0 ~ 239.255.255.255)를 사용한다.

              - 그룹 주소는 호스트를 나타내는 주소가 아님

              - 멀티캐스트 패킷을 수신한 수신자는 자신이 어느 그룹에 속해 있는지를 판단하여 패킷의 수용 여부를 결정한다.

 

IGMP 프로토콜 사용 : 그룹 관리를 위한 프로토콜

      멀티캐스트 그룹의 가입, 탈퇴 및 기타 정보들을 제어한다.

      최근 새로 제안된 제3(Version 3)은 탈퇴할 때의 지연을 줄이기 위해, 호스트는 어떤 확인 절차 없이도 그룹을 떠날 수 있게 되어 있다.

 

2.5 UDP

UDP는 데이터 전달에 있어서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는다.

 

비 연결형 데이터그램 방식을 사용하는 간단한 프로토콜이다.

 

UDP 데이터그램을 포함한 IP 데이터그램 구조는 다음과 같다.

     ▷ UDP 헤더는 발신지 포트번호, 목저기 포트번호, UDP 메시지 길이, UDP 검사합 등 네 개의 구산으로 구성

      ▷ UDP 헤더는 8옥텟의 크기를 가지며, 포트 구간은 프로토콜 포트를 나타내는 16비트의 정수 값으로 채워진다.

      ▷ 발신지 포트번호 구간 : 데이터를 전달한 프로토콜 포트번호

      ▷ 목적지 포트번호 구간 : 데이터를 수신하게 될 포트번호

      ▷ UDP 메시지 길이 : UDP 헤더를 포함하는 UDP데이터그램의 길이를 옥텟 단위로 나타냄

      ▷ UDP 검사 합 : IP 헤더의 검사 합과는 달리, 계산 대상으로 UDP 헤더뿐만 아니라 UDP 이터도 포함시킨다. 검사 합은 UDP에서는 선택 사항이다.

 

데이터 구간은 UDP 헤더 바로 다음에 오게 된다.

 

2.6 TCP

 

TCP/IP 프로토콜 군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송 계층 프로토콜

 

네트워크 계층과 응용계층 사이에서 신뢰성 있게 데이터를 전달하는 기능 수행

      ▷ 검사 합(Checksum), 확인(ACK), 재전송 등의 기능 제공

      ▷ 동시에 양방향 전송이 가능한 가상회선을 설정하여 스트림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므로 데이터의 순서를 보장한다.

 

TCP를 지정하는 프로토콜 번호는 ‘6’이다(IP 프로토콜 헤더에서 사용)

 

데이터 전달시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 Window) 방식으로 흐름 제어(Flow Control)를 한다.

 

연결 종료시, 양 호스트간에 협의를 한 후 연결을 해제한다.

 

전송할 블록의 크기를 유연하게 할 수 있다.

      ▷ TCP가 데이터의 송수신 흐름 제어를 옥텟 단위로 하기 때문에 전달되는 데이터 블록의 시작과 끝을 구분할 필요가 없다.

      → 이를 옥텟 정보 열(Octet Stream) 서비스라 한다.

TCP 세그먼트

      ▷ TCP 데이터의 전달 단위

      ▷ 연결 관련 정보를 가지고 있음

      → 연결을 설정하고, 데이터를 전달한 후 ACK를 받고, 슬라이딩 윈도우의 크기를 알리고, 연결을 해제

 

발신지와 목적지 포트번호 구간 : 송수신하는 응용을 식별

      ▷ IP 헤더 안에 있는 발신지와 목적지 IP 주소와 함께 한 묶음으로 사용되어 각각의 TCP 결을 구분한다.

 

순서 번호, ACK 번호 : 각각 32비트씩

      ▷ 해당 데이터의 이중 전달 방지 및 흐름제어를 위해 사용된다.

      ▷ 연결이 설정된 후 송수신되는 TCP 세그먼트의 데이터 열에서의 해당 위치를 식별한다.

      ▷ 연결이 설정될 때 우선, 순서번호를 초기화하여 서로 이를 교환하고, 데이터를 전달할 때마다 순서번호를 점차 증가시킨다.

Ex)      ① 수신된 마지막 옥텟의 순서 번호가 ‘100’ 이었다면 TCPACK 번호 ‘101’ 을 송신

            ② ACK 번호가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플래그(Flag) 비트의 ACK를 세트한다.

      ▷ ACK 번호는 수신 측에서 얼마나 많은 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신하였는지 나타낸다.

 

윈도우 크기(Window Size) : 흐름 제어(Flow Control)를 위한 구간

      ▷ 수신자가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버퍼에 저장할 수 있는 크기를 나타낸다.

      ▷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 Window)에서 사용하는 16비트 윈도우 크기를 나타낸다.

      ▷ 윈도우 크기를 이용하여 수신 측 TCP는 데이터 흐름을 조절하고, 데이터 전달 도중에 수신측의 데이터 처리 능력에 따라 적절히 윈도우 크기를 재조정할 수 있다.

 

플래그 비트 : 6개의 플래그 비트를 두어, 제어 정보를 전달

      ▷ 해당 기능을 설정하려면 각 비트를 ‘1’ 로 세트한다.

      ▷ URG 플래그 : 수신 TCP에게 긴급포인터 구간이 긴급한 데이터를 가리키고 있음을 뜻한다.

      ▷ ACK 플래그 : 수신 측 TCP에게 ACK 번호 구간이 유효한 번호임을 말해준다.

      → TCP가 데이터를 받고, ACK를 보낼 때 ACK 구간을 세트해야 한다.

      → ACK를 받은 경우 해당 ACK 번호 이전의 모든 데이터들은 수신 측에 잘 전달되었음을

의미한다.

      ▷ PSH 플래그 : 수신 측 TCP가 수신한 세그먼트를 응용에게 즉각적으로 송신할 것을 요구한.

      ▷ RST 플래그 : 수신 측에 연결을 재설정할 것을 요구한다.

      → TCP 연결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RST 플래그를 세트하여 전달한다.

      ▷ SYN 플래그 : 연결을 초기화 할 때, 데이터의 순서번호를 동기화시킨다.

      → 송신자가 새로운 데이터 스트림을 전달할 준비가 되었음을 수신 측 TCP에게 알린다.

      ▷ FIN 플래그 : 송신자가 데이터 전달을 끝냈음을 나타낸다.

      → 단지 FIN 플래그를 보낸 단방향에서 데이터의 흐름만을 해제한다.

      → TCP는 연결을 해제할 때, 각 방향에 각각 FIN 플래그를 세트한 메시지를 보내서 단방향으로 연결을 해제한다.

 

TCP 검사 합

      ▷ 프로토콜 헤더 구간뿐만 아니라 TCP데이터 및 IP의 특정 부분을 나타내는 가상 헤더에 적용되는 검사 합 값이 포함된다.

      ▷ 검사 합 값을 발생시키는 알고리즘은 IP 검사 합 발생 알고리즘과 동일하다.

 

긴급 포인터 : TCP 데이터 구간 안에서의 옥텟 위치를 명시

      ▷ URG 플래그와 긴급포인터의 목적은 특정한 긴급 데이터가 있을 경우, 그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처리할 것을 수신 측에 알리기 위함이다.

      ▷ 일반적으로 통신 도중에 어떠한 문제점이 발생될 경우, 이 상태를 긴급히 알리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 긴급 포인터는 긴급 메시지 부분의 시작점을 지정하며, URG 플래그는 긴급 메시지가 있음을 알린다.

 

선택사항

      ▷ TCP 연결 설정시, 양 호스트가 초기화하는 동안 TCP는 선택적으로 최대 세그먼트 크기 구간을 사용한다.

      ▷ TCP의 최대 세그먼트 크기는 하위 계층의 MTU(Maximum Transfer Unit)와 비슷하며, TCP 모듈이 받아들일 최대 세그먼트 크기를 정의한다.

     ▷ TCP연결을 초기화 할 때, 한 호스트는 특정 값의 MTU를 받아들일 것을 상대 호스트에 알린다. 만일 상대 호스트의 TCPMTU값을 전달하지 않으면, 기본 값으로서 ‘536’MTU 옥텟 값으로 정해진다.


정리하기

 

1. 요약정리

영상정보는 다른 정보와는 달리 정보량이 많이 때문에, 빠른 속도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초고속 통신 기술이 필요하다.

 

디지털화된 영상 정보의 패킷 사이에 전달 지연변이를 일정 범위 이내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영상 정보의 전송에서는 혼잡이 발생하거나 패킷의 분실 없이 전달되는 패킷의 경로설정이 중요하다.

 

인터넷은 물리적인 네트워크들을 상호 접속하는 방법으로써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들이 서로 통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프로토콜들의 집합이다.

 

인터넷 기간망(Backbone Network)의 용량이 증대되고, 라우터 및 네트워크 설계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터넷에서도 고속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게 되면서 인터넷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달해보자는 시도가 제기되어 영상회의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통신 서비스가 멀티캐스트 프로토콜 환경 하에서 시험되고 있다.

 

인터넷 상에서 영상통신 서비스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서비스품질 보장 기술과 인터넷 사용자의 폭발적인 증가로 주소 공간의 확장이 필요하고, 멀티미디어 멀티캐스트등의 해결해야 할 사항들이 많이 있다.

 

영상통신을 위한 인터넷 보완 기술로는 RTP, RTCP, SDP, SAP, SIP, SCCP 프로토콜들이 있.

 

인터넷은 주로 최소 또는 No Delay Constraint로서 신뢰성 있는 데이터의 교환을 위해 사용되어 왔는데, TCP/IP 프로토콜들은 이러한 형태의 트래픽을 위해 개발되었으며 매우 효과적으로 작동한다.

 

TCP/IP의 링크 계층은 IP 계층에서 사용되는 주소와 네트워크 접면에서 사용되는 주소 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ARP, RAR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주소 변환을 하고 있다.

 

TCP/IP의 네트워크 계층은 IP, ICMP, IGMP 등이 사용된다.

 

TCP/IP의 전송 계층에서는 TCPUDP라는 수송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TCP/IP의 응용 계층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가 어떻게 전달되는지에 상관없이 응용의 세부 사항에만 관여한다.

 

IPTCP/IP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로서 인터넷 주소를 이용하여 패킷을 목적지까지 보내는 프로토콜이다.

 

IP의 주된 기능은 연결될 호스트의 주소 지정과 패킷을 생성하는 것이다.

 

IP는 패킷을 다음 노드(라우터)까지만 전달하고 전달된 패킷이 정확하고 안전하게 목적지까지 도착하였는지에 대해서는 보장을 하지 못하는 최선형(Best-effort) 서비스만을 제공한다.

 

IP는 비 연결형 프로토콜로서, 필요한 경우 패킷을 분할(Fragmentation)하고 IP 데이터그램을 통해서 전달되는 거의 모든 정보를 캡슐화(Capsulation)한다.

 

IP의 가장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가 경로설정(Routing)이다.

 

IP주소는 네트워크 식별자(Network Identifier)와 호스트 식별자(Host Identifier)의 쌍으로 구성되며 5개의 등급으로 구분된다.

 

IPv6는 새로운 인터넷 프로토콜(IP)로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도입 되었으며 IPv4보다 훨씬 넓은 주소 공간을 제공한다.

 

IPv6IPv4와 같이 비 연결형 구조로써, 인증 기능, 암호 기능 등이 강화되었으며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오류제어나 흐름제어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인터넷의 데이터 전달 방식은 전달에 참여하는 송신자와 수신자 관점으로 나누어 유니캐스트(Unicast),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멀티캐스트(Multicast)로 구분할 수 있다.

 

멀티캐스트가 유니캐스트와 다른 점은 전송 패킷 헤더에 있으며, 유니캐스트가 수신자 주소를 전송 패킷의 헤더에 표시해 패킷을 전송하는 반면, 멀티캐스트는 전송을 위한 그룹 주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멀티캐스트는 그룹 관리를 위한 프로토콜로써 IGM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UDP는 데이터 전달에 있어서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으며 비 연결형 데이터그램 방식을 사용하는 간단한 프로토콜이다.

 

TCPTCP/IP 프로토콜 군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송 계층 프로토콜로써, 네트워크 계층과 응용계층 사이에서 신뢰성 있게 데이터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CP는 데이터 전달시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 Window) 방식으로 흐름 제어(Flow Control)하고 있으며 연결 종료시, 양 호스트간에 협의를 한 후 연결을 해제한다.

 

TCP는 전송할 블록의 크기를 유연하게 할 수 있다.

 

2. 참고자료

김재균 저, 영상통신시스템, 영지문화사, 2000.

William A. Shay, Understanding Data Communications & Networks-2nd Ed.,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1999.

'정보과학 > 영상통신시스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바일 영상 통신  (0) 2023.10.18
영상 통신을 위한 인터넷 기술 (2)  (1) 2023.10.18
H.264/MPEG-4 Part 10 (2)  (0) 2023.10.18
H.264/MPEG-4 Part 10 (1)  (1) 2023.10.06
MPEG-4 Visual (2)  (1) 2023.10.05